미국 해양대기청 위성환경 차트 (GOES위성 측정자료) (NOAA SWPC Satellite Environments Plot) |
|
미국 해양대기청(NOAA)에서 제공하는 GOES위성의 양성자 플럭스, 전자 플럭스. 지자기장의 수평성분, 그리고 Kp 지수의 시계열을 현재 시각까지 나타낸 이미지이다. 시간의 기준은 UTC이다. | |
(1) 양성자 플럭스 | GOES13 정지궤도 위성의 5분 평균 자료[입자개수/cm2·s·sr], 빨간색 선은 10 MeV 이상의 양성자 플럭스, 파란색 선은 50 MeV 이상의 양성자 플럭스, 밝은 연두색 선은 100 MeV 이상의 양성자 플럭스를 나타낸다. 10 MeV 이상의 양성자 플럭스는 NOAA 기준의 태양입자폭풍(Solar Radiation Storm)의 기준이 된다. |
(2) 전자 플럭스 | 정지궤도의 GOES13, GOES15 위성의 5분 평균 자료[입자개수/cm2-s-sr], 빨간색 선과 파란색 선은 GOES13, GOES15 위성의 2 MeV 이상의 양성자 플럭스, 노란색 선과 보라색 선은 GOES13, GOES15 위성의 0.8 MeV 이상의 양성자 플럭스를 나타낸다. 전자 플럭스의 시간적, 공간적 변화는 자기장의 재결합과 입자의 가속 및 손실에 의한 것이다. 일변화의 원인은 낮 영역에 압력을 가하는 태양풍에 의한 것으로 낮 지역에서 최대값, 밤 지역에서 최소값을 나타낸다. |
(3) GOES Hp |
정지궤도 GOES13, GOES15 위성의 1분 평균 자기장(자전축과 수평방향 성분) 3일 정보, GOES위성의 magnetometer 탑재체는 지자기 폭풍 및 서브스톰 등의 지자기활동 정보를 담고 있다. 낮 지역에서 Hp 값이 감소하여 0에 가깝다면 이는 태양풍에 의한 지구자기장의 압축을 의미한다. 또한 밤 지역에서 0에 가깝게 나타나다가 급증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지구 자기장의 꼬리가 늘어났다가 서브스톰에 의해 지구 안쪽으로 되돌아와 쌍극자 모양의 자기장 형태를 갖기 때문이다. 자기장 측정은 3개의 직교 좌표축을 기준으로 한다. E (지구 중심 방향), P (지구 자기장과 수평 방향), 그리고 N (지구자기장과 수직 방향) 성분이다. 단위는 nT이며, 낮 지역이 밤 지역에 비해 높은 값을 보인다. ▷ Hp: 자전축에 수평방향 자기장 (북극이 +, 남극이 -) ▷ He: 지구방향 자기장 ▷ Hn: 동쪽방향 자기장 ▷ Ht: 전체 자기장 |
(4) Estimated Kp | Kp란 전지구 지자기 지수로 지자기 변동량을 0부터 9까지의 숫자로 3시간마다 나타낸다. NOAA는 Kp값을 실시간으로 알기 위해 Estimated Kp Index를 사용하고 있다. 자기장 지상 관측소는 Sitka, Alaska; Meanook, Canada; Ottawa, Canada; Fredericksburg, Virginia; Hartland, UK; Wingst, Germany; Niemegk, Germany; and Canberra, Australia 이다. 이 값은 미국해양대기청(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NOAA)의 지자기폭풍(Geomagnetic Storm)의 기준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