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에서는 태양활동과 지구 자기권의 변화를 상시 감시함으로써 우주기상 위험에 대비하고 있다. 기상청에서 주요하게 감시하는 우주기상 요소는 기상위성운영, 극항로 항공기상, 전리권기상이다.
항목 | 상황 기준 | 상황 해제 기준 | ||
보통 | 주의보 | 경보 | ||
기상위성 운영 |
R2 이하 S2 이하 G2 이하 자기권계면 위치 > 정지궤도 |
R3 S3 G3 자기권계면 위치 > 정지궤도 |
R4 이상 S4 이상 G4 이상 자기권계면 위치 =< 정지궤도 |
최소 3시간 해제 상황 유지 (NOAA등급 기준 2등급 이하 상황으로 3시간 지속) |
극항로 항공기상 |
R2 이하 S2 이하 G2 이하 |
R3 S3 G3 |
R4 이상 S4 이상 G4 이상 |
|
전리권 기상 |
R2 이하 G2 이하 |
R3 G3 |
R4 이상 G4 이상 |
상황 구분 |
관측 등급 |
예상피해 | ||
기상위성운영 | 극항로 항공기상 | 전리권기상 | ||
보통 | 낮음 | - 영향 없음 | - 영향 없음 | - 영향 없음 |
일반 | ||||
관심 |
- 위성운영에 대한 지상국의 조정 필요 - 저궤도 위성의 궤도변화 가능성 |
- 극항로 항공기 승무원 및 승객의 방사능 노출 - 극지방에서 HF통신 및 항해 영향 |
- HF통신 가능 한계 - 저주파통신 10여분간 품질 저하 |
|
주의보 | 주의 |
- 위성궤도 오차 증가 - 위성 통신 신호 감쇄 - 저궤도 위성 궤도끌림 현상 발생 |
- 극지방 HF통신 효율 저하 - 극항로 항공기 방사능 노출 |
- GPS 신호 감쇄 |
경보 | 경계 |
- 위성 표면대전 및 위치추적 문제 - 저궤도 위성 궤도끌림 현상 발생 - 메모리 장치 문제로 인한 관측영상 에러값 발생 - 인공위성 직접훼손 - 위성통신, 위치추적 장애 |
- 극지방 HF통신 장애 - 극항로 항공기 방사능 노출 |
- GPS통신 장애 |
심각 |
- 위성 표면대전 및 위치추적 문제 - 저궤도 위성 궤도끌림 현상 발생 - 메모리 장치 문제로 인한 관측영상 에러값 발생 - 인공위성 직접훼손 - 위성통신, 위치추적 장애 |
- 수 시간동안 태양방면의 반구에서 HF통신 불가능 - 극항로 항공기 방사능 노출 |
- GPS통신 장애 |